다가오는 어느 날에 지구상공에서 자제치못한 재진입을
하게될 육중한 중국의 로켓 중심체
over Earth in coming days
다가오는 어느 날에 지구상공에서 자제치못한 재진입을
하게될 육중한 중국의 로켓 중심체
By Brandon Specktor - Senior Writer about 10 hours ago
약 10시간전 원로 작가 - 브랜든 스펙터씨에 의한 글
The same type of rocket crashed into West Africa and the
Atlantic Ocean in May 2020, possibly damaging an inhabited
village.
2020년 5월에 똑같은 유형의 로켓이 서아프리카와
대서양에 부서져 내렸으며, 거주지 마을에 피해
를 주기도 했다.

A Long March-5B Y2 rocket carrying the core module of China's space station,
Tianhe, blasts off from the Wenchang Spacecraft Launch Site on April 28, 2021
(Image credit: Getty)
중국 텐허 우주정거장의 핵심 부품을 나르기위한 롱 마치-5B
Y2 로켓 발사체는 2021년 4월 28일 원창 우주선 발사장에서
발사된다. (이미지 저작권: 게티)
The huge, 100-foot-tall (30 meters) core of a Chinese rocket is tumbling
wildly through low-Earth orbit and could make an uncontrolled reentry
through the atmosphere in the coming days, according to news reports.
뉴스 보도에 따르자면, 거대한 100-푸트-높이(30미터)의
중국 로켓의 중심체는 낮은-지구 궤도를 통해 맹렬하게
무너져 내리고 있으며, 다가오는 어느날에 대기를 통한
재진입을 하게될 것이라고 한다.
The core belongs to a Long March 5B rocket (a version of China's largest rocket), which successfully launched a module for China's planned Tianhe space station into orbit on Wednesday (April 28). Following the module's deployment, the rocket core was expected to make maneuvers for a controlled reentry into Earth's atmosphere, according to SpaceNews — however, that didn't happen.
그 중심체는 롱 마치 5B 로켓(중국의 아주 거대한 로켓의 이형)
발사체에 담겨있으며, 롱 마치 58로켓 발사체는 수요일(4월 28일)
중국이 계획했던 텐허 우주정거장의 부속품 로켓을 성공적으로
궤도안으로 발사했다.
스페이스뉴스에 따르자면, 그 부속품을 위한 전개계획을 따랐으며,
그 로켓 중심체는 지구의 대기중으로 자제치못하는 재진입을 위해
방향조절을 하도록 예기된것이었다---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Ground-based radars soon detected the rocket core tumbling through orbit,
oscillating between altitudes of 106 and 231 miles (170 and 372 kilometers)
above Earth's surface and traveling at more than 15,840 mph (25,490 km/h).
(The U.S. military designated the object 2021-035B, and you can monitor its
progress around the planet here.)
지상 레이더에서는 그 로켓 중심체가 지구표면부 위의 106과 231
마일(170과 372킬로미터) 고도 사이를 오가는 진동을하며, 시속 15,
840마일(시속 25,490킬로미터) 이상의 속도로 궤도를 통해 추락하고
있다는 것을 탐지했다.
(미군은 그 물체 2021-035B를 대상물로 지정했고, 그리고는 이쪽
지구어디엔가로의 그것의 진행에대한 통제가 이루어지게된다.)
The drag of Earth's atmosphere will eventually tug the rocket core out of orbit —
however, given the object's high speed and variable altitude, it's impossible to predict exactly where or when it will fall toward Earth's surface.
Much of the core will likely burn up in the planet's atmosphere, SpaceNews reported,
but there is a chance that some chunks of debris will survive the reentry and rain
down on the land or ocean.
지구대기의 인력은 결국 궤도로부터의 그 로켓 중심체를 끌어당기게
되지만, 그러나 그 대상물체의 속도의 빠르기 그리고 고도의 다양성
이 변수로 주어지기에, 그것이 정확히 언제 어디에 지구의 표면을 향
하여 떨어질지를 예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중심체의 대부분은 지구의 대기중에서 불타버릴것 같다, 라고 스페
이스뉴스에서는 보도했다.
그러나, 몇몇 잔해 덩어리는 그 재진입에서 살아남아 그리고는 비가
내릴때 땅과 바다로 떨어지는 기회가 있다.
This, sadly, wouldn't be the first time. In May 2020, a Long March 5B rocket slammed
through the atmosphere, partially burning up on its descent, Live Science previously
reported.
The core fell largely into the Atlantic Ocean, but some debris landed in West Africa.
According to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some chunks of debris crashed into in-
habited villages in Côte d'Ivoire, though thankfully no casualties were reported.
유감스럽게도, 이것은 첫번째가 아니라는 것이다. 2020년 5월에도
롱 마치 5B 로켓이 대기를 강타하며, 부분적으로 불타오르며 하강
했다, 라고 라이브 사이언스에서는 보고했다.
그 중심체는 대략 대서양으로 떨어졌지만, 그러나 몇몇 잔해는
서아프리카에 떨어지기도 했다.
남중국의 모닝 포스트에 따르자면, 몇몇 잔해덩어리는 코트디부
아르의 거주지 마을로 부서져 내렸지만,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고 한다.
Jonathan McDowell, a Harvard astrophysicist and orbital object tracker, noted at the time that the Long March 5B core was the heaviest object to make an uncontrolled reentry through the atmosphere in nearly three decades. Before breaking apart, the core weighed about 19.6 tons (17,800 kilograms); the last time a heavier object made an uncontrolled reentry was in 1991, when the 43-ton (39,000 kg) Salyut-7 Soviet space station fell through the atmosphere over Argentina, McDowell wrote on Twitter.
하바드 천체물리학자이자 궤도 물체 트랙커(추적자) 조나단
맥도웰 박사는 롱 마치 5B 중심체는 거의 30년을 지나면서
대기를 통하여 자제치못한 재진입을 하게되는 가장 무거운
물체였다는 그 시점에 주목을 했다.
갈라져 부셔지기전에 그 중심체는 약 19.6톤(17,800킬로
그램)의 무게가 나갔다. 즉, 그 마지막 시기인 1991년도에
더 무거운 물체가 자제치못한 재진입을 했으며, 그리고
그때 무게 43톤(39,000 킬로그램)인 살류트-7소련 우주
정거장이 아르젠티나에 걸친 대기를 통해 떨어져 내렸다,
라고 맥도웰 박사는 트위터에 글을 썼다.
In a recent interview with SpaceNews, McDowell noted that the core currently tumbling through orbit is about seven times more massive than the Falcon 9 rocket's second stage that lit up the sky over Seattle about a month ago. If the core reenters at night, it could produce a similar light show.
스페이스뉴스와의 최근의 인터뷰에서 맥도웰 박사는
현재 궤도를 통해 무너져내린 그 중심체는 약 1달전
의 시애틀 항구도시위로 불을 밝힌 팰콘 9 로켓의 두
번째의 무대에서보다 약 7배나 더 육중하다는 사실에
주목을 했다.
만일, 그 중심체가 밤에 재진입을 한다면, 그건 유사한
빛쇼를 생성해 줄 것이다.
This was the first of 11 planned launche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China's Tianhe, or "Heavenly Harmony," space station, according to SpaceNews. The station is expected to be complete in late 2022.
스페이스뉴스에 따르자면, 이번은 중국의 텐허 혹은
"천상의 조화,"라는 우주 정거장의 구축에 관계된 11
번으로 계획된 발사중의 그 첫번째였다, 고 한다.
그 정거장은 2022년도 말 완공되는 것으로 예기
되어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