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유형으로 가능한 빙하가 바로 화성에서 발견되었다
새로운 유형으로 가능한 빙하가 바로 화성에서 발견되었다.
By Stephanie Pappas - Live Science Contributor 03 May 2021
2021년도 5월 03일 라이브 사이언스 원고기고자
-- 스테파니 파파스에 의한 글
Strange landforms look like a Martian version of Antarctic ice streams.
이상한 지형으로 남극 빙류(氷流)의 화성판처럼
보인다.

The textures of Arcadia Planitia, captured in 2001 by the Mars Ody-
ssey spacecraft.
(Image credit: NASA/JPL/Arizona State University)
화성 오디세이 우주선에 의해 2001년도에 포착된
아르카디아 플라니티아( Arcadia Planitia: 화성의
신선한 용암과 아마존의 화산이 흐르는 평탄한
평지)의 짜임새
(이미지 저작권: 니사/제트 추진 연구소/아리조나
주립대)
A potential Mars landing site might be underlain by debris-cover-
ed glaciers.
잠재적으로 화성에 착륙을 위한 곳은 잔재로 덮힌 빙하
아래에 놓여져있을지 모른다.
Strange sinuous features on a flat plain known as Arcadia Planitia
bear a striking resemblance to ice streams within ice sheets in
Antarctica, a new study finds. If these shallowly covered glaciers
do, in fact, exist, they could be a reason to direct future crewed
missions to Mars toward the region. The spot was already intri-
guing to SpaceX and NASA because it is a broad, flat plain, which
is ideal for landing spacecraft. If there is ice not too deep below
the surface of the plain, astronauts could also have a water source
easily at hand.
아르카디아 플라니티아(Arcadia Planitia)로 알려진
평지표면의 이상하리만치 구불구불한 특질은 남극
대륙의 빙상내부의 빙류(氷流)와 현저한 유사성을
가진다, 라는 사실을 새로운 연구에서 발견한다.
만일 이들 얇게 덮힌 빙하가 그렇거나, 사실상, 존재
한다면, 그것들은 그 지역을 향하여, 화성에 장차
승무원을 태운 임무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겠다.
그 지점은 그것이 넓고 평탄한 평지이기 때문에
SpaceX 우주개발업체와 나사에 이미 아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곳이었고, 그리고 그곳은 우주선의
착륙을 위해 이상적이다.
만일, 그 평지의 표면아래의 빙하가 아주 깊히 있지
않다면, 우주인들은 또한 물의 근원을 쉽사리 가까이
해볼 수 있겠다.
The newfound flow-like features are strange because they occur on
flat terrain, said study leader Shannon Hibbard, a doctoral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in Canada.
새로 발견된 흐름과 같은 특질로, 그것들은 평탄한
지형위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낯설다, 라고 캐나다의
온타리오대학 박사학위과정의 학생이자 선임 연구원
섀넌 히바드씨는 말했다.
"There's lots of evidence that this is an ice-rich area, but we don't have any major topographic relief occurring where these sinuous features are," Hibbard told Live Science. "They're existing in a pretty flat-lying plane, so that was kind of odd."
"이것은 빙하가 풍부한 지역이라는 많은 증거가 있다
는 것입니다만, 우리는 이것들 구불구불한 특질이
발생된 곳에 대한 어떠한 주요 지형적 구제증거를
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라고 히바드씨는 라이브
사이언스에 말했다.
"그것들은 아주 평탄하게-놓여있는 평지에 존재
하고 있음으로, 그래서 그것은 기이한 종류(種類)
였습니다."
Related: 5 Mars myths and misconceptions
관련 내용: 5가지 화성의 신비로움과 잘못된 견해
Mystery landforms
신비로운 지형
Arcadia Planitia is in Mars' northern lowlands. In the last 3 billion years, active lava flows smoothed over this region, so
that it is far less pocked with craters compared with other parts of the
planet. Data collected from orbit over the years suggest that the ground
in the region is rich in hydrogen.
Because water is made of hydrogen and oxygen molecules, this hydrogen
suggests the presence of water ice right below the surface.
아르카디아 플라니티아(Arcadia Planitia)는 화성 북쪽
지역의 저지대이다.
마지막 30억년을 지나면서 활성 용암의 흐름은 이 지역
에 걸쳐 평탄했으며, 그래서 그것은 지구의 다른 부분들
과 비교하여 훨씬 못 미치는 분화구로 되어있다.
그 년도들에 걸친 궤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그 지역
의 땅이 수소가 풍부하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물은 수소와 산소 분자로 이루어지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현존 얼음물이 바로 그 표면부 아래에 있음이
제시된다.
For decades, scientists have noticed features on Mars that look ice-related. Alongside low hills, there are aprons of debris known as lobate features because of their shape, which look like the outflow of glaciers covered in a thin layer of rocks. There are also striated patterns within gullies that look similar to glaciers flowing through valleys on Earth.
수십년동안 과학자들은 얼음과 관련된것처럼 보이는 화성의
특질에 주목했다.
여러개의 낮은 언덕을 곁들여 그들의 모양 때문에 로베이트
(열편:裂片-이 있는) 특질로 알려진 잔재의 앞치마가 있는데,
이것은 얇은 암석층으로 덮혀진 빙하의 유출 모습처럼 보인
다.
거기에는 또한 지구의 계곡을 통하여 흐르는 빙하와 유사하게
보이는 배수로안의 줄무늬 형태들도 있다.
Similar features occur in Arcadia Planitia, Hibbard said.
Lobate features occur near a set of mountains known as the Erebus Montes
that rise from the plain. Sinuous features snake through low-lying areas.
She and her colleagues pulled together observations from multiple different
instruments to try to identify these features.
This included photographs from orbit, thermal data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in both day and night, albedo data that reveals the reflectivity
of the surface, information on the dust cover and data on elevation and topography.
유사한 특질은 아르카다 플라니티아(Arcadia Planitia)에서도 발생
된다,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다.
로베이트(열편:裂片-이 있는) 특질은 그 평지로부터 솟아오른
에레부스 몬테스로 알려진 한쌍의 산맥근처에서 발생 된다.
구불구불한 특질은 낮게 놓인 지역을 통하여 기어간다.
그녀와 그녀의 동료들은 이들 특질들을 파악해보기위하여 시도
한 다양한 서로다른 장비로부터의 관측내용을 모두 끌어모았다.
이러한 것으로 궤도로부터의 여러가지 사진, 낮 그리고 밤 둘 다
에서의 그 표면부의 기온을 보여주는 온도 데이터, 그 표면부의
굴곡정도를 드러내는 알베도(albedo) 데이터, 먼지 덮개에 대한
정보 및 표고 및 지형 데이터들도 포함되었다.
Glacial flow
빙하의 흐름
The sinuous features were the big mystery, Hibbard said, because they looked
like they were made by ice flow, but the terrain wasn't steep enough to explain
why the ice would be moving.
그 구불구불한 특질은 바로 큰 미스테리였다,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은 빙하의 흐름에 의하여 만들어졌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인데, 하지만, 그 지형은 빙하가 이동하게될
것이라는 이유를 설명해줄만큼 그렇게 충분히 가파르지 않았다.
"We had to try to figure out what the heck are they,
why do they have the thermal signatures that they have,
why are they so bright in both day and night,
why do they appear to have flow features,
why are they channelized, why do they occur near lobate debris aprons?"
she said.
"우리는 제기랄 그것들이 무엇인지를 구체화해내기 위하여
노력했지만, 왜 그것들은 그 열적 인증을 현재의 그것들이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왜 그것들은 낮과 밤 양쪽 다
에서 그렇게 밝게 빛나며, 왜 그것들은 흐르는 특질을 지니는
것으로 보이며, 왜 그것들은 수로화되어지고, 왜 그것들이
로베이트(열편:裂片-이 있는) 잔재의 앞치마 근처에서 발생
되는가? 하는 겁니다." 라고 그녀는 말했다.
Related: Photo tour of Jezero Crater: Here's where Perseverance landed on Mars
여기가 화성의 인내 착륙소이다
The analysis suggested that these features were, in fact, glacial in origin.
The sinuous shapes looked similar to other features associated with slow-flowing
material seen on Mars, Hibbard said, and the data suggested that these spots were
indeed rich in ice.
그러한 분석결과는 이들 특질이 사실상 빙하에서 기원되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 구불구불한 모양은 화성에서 느리게 흐르는 물질들과 관련된
다른 특질과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고 히바드씨는 말했
으며, 그리고 그 데이터로 보아 이들 지점들은 사실 빙하가 풍부
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What the sinuous features look most like, Hibbard said, is ice streams within ice
sheets on Earth, which occur primarily in Antarctica.
These faster-moving flows of ice aren't well understood on Earth, Hibbard said,
much less Mars, but they do show an example of ice flowing in fairly flat terrain.
구불구불한 특질이 가장 닮아보이는 것은,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는데, 지구상의 얼음장안의 빙하의 흐름이며, 그리고
그러한 현상은 주로 남극대륙에서 발생된다, 고 했다.
이것들 빙하가 더 빠르게-움직여 흐르는 것은 지구상에서는
잘 이해되지 않는 사실이다,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으며.
하물며 화성에서는, 또한 그것들은 실로 아주 평탄한 지형
에서 흐르는 빙하의 한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라고 했다.
This is a controversial claim, Hibbard said, because most ice streams on Earth
require at least a thin layer of liquid water at their base to lubricate their flow.
It's not clear whether subglacial water exists or ever existed on Mars, she said,
nor is it clear whether a wet base would be required to cause ice streams to flow on the Red Planet.
One possibility is that in the past, when Mars' orbit was tilted differently than it is today
and its climate was different, subglacial melt could have occurred.
이것은 논쟁적 주장이다,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는데, 왜냐하면
지구상의 대부분의 빙하의 흐름은 그것들의 흐름에 기름질을
해주는 그러한 토대에서 적어도 액체물의 엷은 속층을 필수적
으로 하기때문이다.
화성의 빙하아래에 물이 존재할지 혹은 이때껏 존재했는지
어떨지는 명백하지 않다, 라고 그녀는 말했는데, 한가지 가능성
으로 과거에 있어서인데, 빙하아래가 녹은일이 발생했을 수도 있
다, 라고 했다.
"Ice streams are something that might be on Mars and might suggest more
complex glacial processes have taken place on Mars, which I think is really
interesting," Hibbard said.
"빙하의 흐름은 화성에 있을 수도 있는 중대한 일이며, 그리고
더 많이 복잡한 빙하의 과정이 화성에서 발생된 적이 있다고
제안할 수도 있는 일이며, 그리고 내가 생각컨대 실로 흥미롭
습니다,"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다.
The next step, she said, is to investigate the terrain surrounding these sinuous
features for more clues. Arcadia Planitia has never been studied except from orbit,
but it might be an exciting place to send future Mars missions, she added.
그 다음 단계로, 라고 그녀는 말했으며, 더 많은 실마리가 되는
이것들 구불구불한 특질을 둘러싼 그 지역을 조사해주는 것이다.
아르카디아 플라니티아(Arcadia Planitia)는 궤도로부터를 제외
하고는 결코 연구된적이 없었지만, 그러나 그것은 미래의 화성
임무선을 보낼 흥미로운 곳일지도 모릅니다. 라고 그녀는 덧붙여
말했다.
"It would be an interesting place to land not only for the accessibility of water ice
and abundance of water ice, but also for the scientific value," Hibbard said.
"그것은 수빙(水氷)과 풍부한 수빙(水氷)에 대한 접근 가능성
뿐만아니라 또한 과학적 가치에 대한 접근가능성을 위해서도
착륙해볼 흥미로운 장소일겁니다." 라고 히바드씨는 말했다.
The research appears in the May issue of the journal Icarus.
이 연구는 학술지 이카루스 5월호에 실린다.
Originally published on Live Science.
라이브 사이언스에 원본으로 발행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